지난 글에서는 외환거래의 상황을 보여주는 포지션에 대해서 상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일물일가의 법칙과 구매력평가 이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물일가의 법칙
일물일가의 법칙은 자유로운 무역과 경쟁이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서로 다른 국가에서 판매하는 같은 물건의 가격을 동일한 통화로 표시했을 경우 물건의 가격이 두 국가에서 동일하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한국과 일본 사이에서 순금 무역이 자유롭고 수송비용이 무시해도 될 경우 일물일가의 법칙이 성립한다면, 한국에서 순금 1돈의 가격이 30만 원이고 100엔이 1천 원일 경우 동질의 순금 1돈은 일본에서도 3만 엔이어야 합니다.
일물일가 법칙이 성립할 수 있는 이유는 앞서 알아봤던 외화의 재정이 상품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동일한 상품이나 자산이 만약 다른 국가에서 가격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사람들은 낮은 가격이 책정된 국가에서 상품을 매입하여 비싼 가격이 책정된 국가로 매도하여 이익을 남길 것입니다. 물론 이때 거래수수료 및 물류비용은 이익보다 작아야지만 가능합니다.
이러한 재정의 전형적인 모습은 외환시장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즉 일본 엔화에 대한 한국 원화의 환율이 국민은행에서는 100엔당 950원에 매입하고 신한은행에서 940원에 매도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사람들은 신한은행에서 엔화를 매입하여 국민은행에 매도함으로써 이익을 거둘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외환의 재정에 의하여 엔화에 대한 원화 환율이 940원과 950원 사이에서 책정되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보자면 외환의 재정으로 인해 어느 시장에서나 엔화 대비 원화 환율은 동일한 것입니다.
앞서도 금을 예시로 들었지만, 세계 여러 나라의 금 시장에서 금 1온스의 가격은 거의 동일합니다. 그 이유는 금 가격이 동일한 화폐 가격으로 비슷해질 때까지 금의 재정이 이루어졌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한국의 금 가격은 다른 나라들보다 비싸게 책정되는데 그 이유는 앞서 가정하였던 자유로운 무역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한국 정부가 금의 수입을 엄격히 제한하기 때문에 금의 재정이 일어나기 어려운 것입니다. 우리가 종종 뉴스에서 금에 대한 밀반입 적발에 대해 접할 수 있는데, 밀반입의 이유가 바로 금의 재정이 일어나지 않아 시세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일물일가 법칙의 계산식
일물일가 법칙은 계산식으로도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해당 상품이 한국에서 판매되는 가격을 원화 표시 한국 가격, 미국에서 판매되는 가격을 달러당 원화 환율을 반영한 원화 표시 미국 가격으로 정의합니다. 그리고 상품의 상대 가격은 같은 통화로 산출한 미국 가격 대비 한국 가격을 나타냅니다. 즉, 원화 표시 미국 가격을 원화 표시 한국 가격으로 나눈 값이 상대 가격입니다.
만약 상대 가격이 1보다 크면 분자가 큰 것이므로 미국 가격이 한국 가격보다 비싸 상품의 재정이 일어납니다. 반면에 상대 가격이 1보다 작으면 미국 가격이 한국 가격보다 싸므로 반대 재정이 일어납니다. 여기서 상대 가격이 1로 수렴하면 시장은 균형에 도달하게 되고, 일물일가 법칙이 성립한다고 말합니다.
일물일가 법칙이 성립되는 시장에서는 두 국가의 가격을 활용하여 환율 도출을 할 수 있습니다. 상대 가격이 1이기 때문에 결국 환율은 한국 원화를 미국 달러화로 나눈 간단한 계산식이 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특정 재화의 한국 가격이 현재 130만원인데, 동일 재화가 미국에서는 1,000달러라고 하면 환율은 1달러당 1,300원이 되는 것입니다.
즉, 환율은 양 국가의 통화 구매력에 의해 산출됩니다. 통화를 적게 발행한 국가의 물가는 통화를 많이 발행한 국가의 물가보다 낮을 것이므로, 통화가 희소한 국가는 소액의 통화를 지불하고 통화가 흔한 국가는 많은 액수를 지불하는 교환의 형태가 합법적입니다.
그러나 문제는 통화로 구매할 수 있는 상품은 무수히 많기 때문에 통화의 구매력은 다양한 상품에 의해 결정되므로, 여러 가지 상품을 구매하는 데 지불하는 가격으로 측정한 구매력 산출이 필요합니다. 이처럼 여러 상품으로 구성된 같은 상품 집단을 구매하는 경우의 통화 구매력이 같은 값이 되도록 하는 환율 기준은 상품시장의 균형을 성립하는 균형환율입니다.
구매력평가 이론
절대적 구매력평가 이론
환율이 두 나라의 물가 수준 비율에 따라 결정한다는 것이 절대적 구매력평가 이론인데, 개별 상품을 기준으로 하는 일물일가 법칙보다 거시적으로 접근한 법칙입니다. 모든 재화의 가중평균 가격은 물가 수준을 나타내며 거시적 가격을 의미합니다. 양 국가의 물가를 같은 통화로 나타내면 두 나라의 물가가 같다는 이론이 구매력평가 이론입니다. 따라서 일물일가 법칙을 미시적이라고 한다면 절대적 구매력평가 이론은 거시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상대적 구매력평가 이론
앞서 언급하였듯이 절대적 구매력평가 이론은 양 국가의 물가 수준을 기준으로 산출합니다. 그러나 물가 수준 통계는 가용하지 않으며, 물가 수준의 변화율인 인플레이션율을 구할 수 있는 물가지수 통계만 측정할 수 있습니다. 이에 명목 평가절하율은 양 국가의 인플레이션의 차이를 보여주는데, 이를 상대적 구매력평가 이론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한 국가가 다른 국가에 비해 과거 10% 높은 인플레이션을 겪었고, 해당 국가의 통화가 다른 나라 통화에 대해 10% 평가절하되었다면 상대적 구매력평가는 성립한다고 보는 것입니다.
정리하자면, 상대적 구매력평가는 물가와 환율 변화율의 관계인 반면에 절대적 구매력평가는 물가와 환율 수준의 관계입니다. 또한 절대적 구매력평가가 성립하면 상대적 구매력평가도 성립하지만, 반대로 상대적 구매력평가가 성립한다고 해서 절대적 구매력평가가 성립하는 것은 아닙니다.
'환율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직적 가격 통화론적 접근법이란? (0) | 2022.12.04 |
---|---|
통화론적 접근법이란? (0) | 2022.12.04 |
외환 파생상품과 외환 거래 포지션 (0) | 2022.11.30 |
환율의 종류와 외환의 재정, 현물환 및 선물환 (0) | 2022.11.29 |
환율의 표시방법과 변화 (0) | 2022.11.28 |
댓글